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축구 포지션 설명 GK CB FB MF 등등

반응형

 

 

 

 

 

축구를 보다 보면 센터백이 어쩌고 저쩌고 풀백이 어쩌고 저쩌고 윙이 어쩌고 저쩌고 등등 하는 말을 듣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축구 포지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축구는 전,후반 각 45분씩 총 90분으로 2팀이 경기를 펼칩니다.  전반전이 끝난 후 15분의 하프타임이 주어집니다.

각 팀은 11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등 다양한 역할을 맡습니다.

 

 

 

축구 포지션

골키퍼 (GK, Goalkeeper) 골문을 지키는 선수로 패널티 에어리어 내에서 유일하게 손을 사용할 수 있는 선수로 상대팀의 득점을 직접적으로 막는 역할입니다.  골키퍼는 심판이나 다른 선수들과 구별을 위해 다른 유니폼을 착용합니다.
수비수(DB, Defender)          미드필더의 뒤에서 플레이하며 상대팀이 골을 넣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센터백(CB, Central defender) 골키퍼 바로 앞에서 수비의 중앙에 위치하여 주로 중앙 공격수가 득점하는 것을 저지하며 공중 위협에 대처합니다.  센터백은 보통 힘이 좋고 키가 장신이며 태클과 헤더에 능합니다.
김민재 선수가 센터백 입니다.
풀백(FB, Full-back) 2명으로 구성되며 경기장 측면에서 활동하는 수비수이며 주로 상대팀 선수의 크로스나 돌파를 저지합니다.  여러 전술에서 풀백은 상대편의 특정선수(윙어 등)를 마크합니다.  일반적으로 빠르고, 태클에 능하며 경기하는 내내 측면을 오르내릴 수 있는 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윙백(WB, Wingback) 윙어와 풀백의 역할을 겸임하는 포지션입니다.  윙어와 풀백의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측면을 신속하게 오르내려야 합니다.  체력이 특히 중시됩니다.
미드필더(MF, Midfielder)      공격수와 수비수 사이에서 뛰는 포지션 입니다.
중앙 미드필더
(CM, Central Midfielder)
공격과 수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비형 미드필더
(DM, Defensive Midfielder)
상대팀의 공격을 차단하고 포백을 보호하고 볼을 배급하는 등 1차 수비 저지선이자 공격의 시발점 입니다.
공격형 미드필더
(AM, Attacking Midfielder)
미드필드진에서 전진 배치되고 공격을 이끄는 미드필더 입니다.  주로 스트라이커 아래에 위치 합니다.
측면 미드필더/윙어
(WM, Wide Midfielder/Winger)
드리블로 상대편의 풀백의 수비를 피해 커-백이나 크로스를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하여 윙어는 스피드, 개인기, 크로스, 드리블, 패스, 킥력이 뛰어나야 합니다.
공격수(FW, Forward)        스트라이커라도도 하며 상대팀 골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포지션입니다.
중앙 공격수
(CF, Center Forward)
중앙 공격수는 기본적으로 득점을 하는 포지션입니다.  이 포지션은 몸싸움과 헤더, 위치선정, 슈팅능력이 뛰어나야 합니다.
세컨드 스트라이커
(SS, Second Striker)
최전방 공격수와 미드필더 사이에 위치하는 포지션 입니다.  투톱 중 한명으로 배치되며 주로 최전방 공격수를 돕고, 직접 득점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 이 포지션은 기술력이 좋고 연계 능력, 패스 능력이 좋습니다.
윙어(Winger)
: LW(Left Winger) 왼쪽 윙어
  RW(Right Winger) 오른쪽 윙어
전략에 따라 공격수로도 미드필더로더 분류될 수 있습니다.
드리블 등으로 상대편의 풀백을 공략하고 크로스를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 포지션의 선수는 대부분 드리블이 좋고 속도가 빠릅니다.

 

 

                            축구용어                                                                                                 축구 포지션별 위치                   

 

 

 

 

 

 

 

 

축구 반칙의 종류 알아보기

 

 

 

축구 포메이션 보러가기

 

 

 

반응형